회고 및 후기🌿

리액트 훅을 활용한 마이크로 상태관리 스터디 후기

귤랑귤랑 2025. 2. 12. 20:43
  • 참여 기간 : 2024년 9월 7일~12월7일 (3개월)
  • 스터디 주제 : '리액트 훅을 활용한 마이크로 상태 관리' 책을 매주 스터디
  • 스터디를 신청한 이유 : 책을 통해 리액트 훅과 상태 관리에 대해 공부하고 각자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고민을 나누기 위해 스터디를 진행했다. 
  • 스터디를 참여 시작할 때 세웠던 목표
    • 1. 책 완독
    • 2. 코드 레벨에서 이해하기
  • 진행 과정
    • 한 주에 1~2장을 읽고 내용을 정리한다.
    • 스터디날 발표자를 랜덤으로 선정하여 해당 회차 스터디를 진행한다.

 

지난 12월, 3개월간 진행된 자바카페 2024년 하반기 스터디가 마무리되었습니다. 마지막 발표회에서 제가 리더를 맡았던 '리액트 훅을 활용한 마이크로 상태 관리 (다이시 카토)' 스터디의 회고를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회고 발표

회고 발표

스터디 회고 발표 자료는 Gamma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작하고 웹으로 배포하였습니다. 짧은 시간 투자로 퀄리티 있는 자료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https://react-hook-study-rm5cjw0.gamma.site/

터디 마지막 시간에는 구성원 모두가 회고를 진행했고, 각자의 의견과 효과적이었던 학습 방법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학습 방

1. 깊이 있는 라이브러리 분석

 

  • 9명의 스터디원들이 함께 GitHub 소스 코드를 분석하며 라이브러리의 동작 원리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 React 훅 기반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들의 내부 구현을 살펴보며 심화 지식을 쌓았고, Javascript에 대한 깊은 이해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 greptile 등의 AI 도구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코드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2. 최신 기술 트렌드 분석

  • 재 내용을 넘어 React 18, 19 로드맵과 React Compiler 등 최신 기술 동향을 함께 탐구했습니다.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선택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며 기술적 시야를 확장했습니다.

3. 활발한 학습 커뮤니티 형성

  • 정규 스터디 시간 외에도 컨퍼런스 후기, 기술 아티클, 개인 프로젝트 경험 등을 지속적으로 공유했습니다.
  •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서로에게 동기부여가 되어 긍정적인 학습 문화를 조성할 수 있었습니다.

교재 평가

장점

  • 태관리 도구의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
  • 실제 구현 코드를 통한 실습 중심의 학습
  • 저자의 직접적인 라이브러리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한 명확한 설명

개선점

  • 전반부와 후반부의 난이도 격차가 큼
  • 일부 번역의 품질 저하로 이해가 어려운 부분 존재
  • 라이브러리 활용에 대한 설명이 다소 피상적

스터디 운영 피드백

긍정적 요소
  • 표자 랜덤 선정을 통한 참여도 향상
  • 무 경험 공유를 통한 실질적 학습 효
  • 자유로운 토론 분위기 조성
개선 제안
  • 짧은 챕터는 통합 진행 고려
  • 계적인 자료 아카이빙 공간 필요
  •  많은 참여자의 의견을 끌어내는 방식 모색

마치며

이번 스터디를 통해 기술서적 완독이라는 목표를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개발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시야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특히 리액트 훅과 상태관리에 대한 이해를 넘어 최신 기술 동향까지 함께 논의할 수 있어 매우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스터디 참여를 통해 개발자로서의 성장을 이어나가고자 합니.